요즘 새로운 유니티 프로젝트의 개발 환경을 셋팅하고 있다. 팀 내에 빌드머쉰으로 사용 중인 Mac이 있는데 여기에 캐쉬 서버를 설치했다. 그 과정을 과정을 공유한다. 캐쉬 서버가 뭔지, 쓰면 뭐가 좋은지 아직 모른다면 아래 링크를 참조하기 바란다. 유니티 공식 문서다.
https://docs.unity3d.com/kr/current/Manual/CacheServer.html
다만 위 문서는 과거 Unity5.x 시절의 설치 방법을 설명하고 있다. 캐쉬 서버는 Unity 엔진이 업데이트될 때마다 최신 버전으로 함께 배포된다. 문서의 다운로드 링크를 클릭하면 아래 페이지로 이동한다.
유니티 2019.1.10 버전 기준으로 캐쉬서버 다운로드 페이지의 모습은 아래와 같다.
Cache Server를 클릭하면 zip 파일이 다운로드된다는 문서의 설명과는 다르게 아래와 같은 github 페이지로 이동한다.
https://github.com/Unity-Technologies/unity-cache-server
유니티 캐쉬 서버가 node.js 패키지로 변경된 것이다. 위 페이지에는 친절하게 node.js, NPM(Node Package Manager), 캐쉬 서버 패키지 다운로드 및 설치 방법이 적혀 있다. 그대로 따라서 하면 어렵지 않게 캐시 서버를 설치할 수 있다.
실행 방법도 아주 간단하다. 터미널에서 아래 파일을 실행하면 끝이다.
unity-cache-server
그러면 다음과 같이 기본 설정으로 캐쉬 서버가 실행된다.
Cache path is (설치 경로)
Cache path version x.x.x; Cache module is cache_fs
Cache path ready on port 8126
만약 마지막 ready 메시지가 뜨지 않는다면 권한 문제일 가능성이 크다. 앞에 sudo를 붙여서 unity-cache-server를 실행하는 등의 방법으로 해결하면 된다.
한 가지가 더 남았다. Mac이 재시작될 때마다 캐시 서버를 실행하려면 서비스로 등록해야 한다. 서비스 등록은 Mac OS가 제공하는 런치 에이전트(LaunchAgent)인 launchctl을 사용한다. 나는 아래 페이지를 참고해서 작업했다.
http://orange-lily27.hatenablog.com/entry/2019/01/15/112008
먼저 unity-cache-server 파일을 실행하는 쉘 스크립트 파일(com.unity3d.CacheServer.sh)을 만든다. 그리고 이 쉘 스크립트 파일을 launchctl을 이용해서 서비스 등록하기 위해 plist 파일을 작성한다. ~/Library/LaunchAgents/ 경로에 com.unity3d.CacheServer.plist 라는 이름으로 plist 파일을 작성한다. 그리고 아래와 같이 서비스로 등록하면 된다.
launchctl load ~/Library/LaunchAgents/com.unity3d.CacheServer.plist
끝.
'개발 > Unity' 카테고리의 다른 글
[Unity] NGUI + Spine 연동 (2) | 2019.08.30 |
---|---|
[Unity][DOTS] 계층 구조의 GameObject를 ECS Entity로 변환하기 (0) | 2019.08.23 |
[Unity][DOTS] World와 ComponentSystemGroup (0) | 2019.07.12 |
[Unity][DOTS] Component WriteGroups (8) | 2019.07.05 |
[Unity] hierarchy 창에서 선택한 오브젝트 선택 유지하기 (0) | 2019.06.28 |